5월 17일 40명이 동참한 가운데, 부여 무량사, 백제 문화단지, 청양 장곡사를 다녀왔습니다. 무량사를 들 어가기 전에 보이는 사천왕문을 액자 삼아 경내를 바 라보니 한 장의 멋진 풍경사진을 보는 듯 했습니다. 길을 따라 들어가면 석등과 석탑, 주불전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서 있었습니다.
무량사의 중심 불전인 극락전은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2층 불전으 로, 처마의 곡선과 비례의 미가 아주 뛰어난 건물이었습니다. 법당 안 에는 소조불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아미타여래 삼존좌상이 모셔 져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무량사는 김시습이 마지막을 달리한 곳 으로 김시습의 초상이 남겨져 있기도 했습니다. 주지스님은 “무량사 에는주련을보면어떤법당인지바로알수있다”며 법당기둥에있는 주련을 해석해주었습니다. 무량사 경내를 둘러보고 모처럼 절에서 점심공양으로 맛있는 나물밥을 먹었습니다.
백제문화단지는 사비궁과 능사를 다니면서 일본에 가지 않아도 백제 시대의 건물들이 어떠했을지 상상해 볼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청양 장곡사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대웅전이 두 개가 있는 사찰이 었습니다. 아쉽게도 하 대웅전에 모셔진 금동약사여래좌상은 전시로 인해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이운해서 볼 수 없었습니다. 대신 상 대웅전의 철조여래좌상이 모셔져 있었습니다.
철조약사여래좌상
철조약사여래좌상
철조약사여래좌상
금동약사여래좌상
대웅전은 여러 시대에 걸쳐 보수를 해, 각 시대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 는 법당이었습니다. 오래된 법당 안에는 철로 만든 철조비로자나불좌 상, 철조약사여래좌상이 모셔져 있었습니다. 개금이 되어 있어 철불 의 느낌은 나지 않았습니다. 특이한 것은 대좌는 석조, 석등으로 만들 어져 있고, 광배는 나무로 만들어져 눈에 단연 돋보였습니다.
주지스님은 “우리의 일상은 현대화되고, 실용적으로 사고하기 때문 에 고건축물, 불상들을 보면서 문화유산의 지식보다 고건축물과 불상 을 만든 옛 조상들의 생각을 배우고 따라가야 한다.”며 “지식의 영역 을 확장하는 선에서 그치지 말아야 한다”고 답사의 마무리를 지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