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베터리

차가 잘 달리려면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우선 평소에 정비를 잘 해서 고장이 안 나야 합니다. 두 번째는 운전하는 사람이 있어야 차가 달립니다. 세 번째로 기름이 없으면 차가 못 갑니다. 네 번째 정비도 잘 하고 운전사도 있고 기름도 있는데 시동이 안 걸리면 차가 못 움직입니다.

우리가 수행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불교에 대한 지식이 많고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 있어도 수행을 안 하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차가 있어도 차고에만 넣어 놓고 운행하지 않으면 차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누군가가 식솔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돈을 버느라 바쁘다면 아무리 수행을 하고 싶어도 못 할 것입니다. 지금 이 시간에 절에 나와서 이 자리에 앉아계신 분들은 최소한의 조건을 갖춘 분들입니다. 그런데 수행을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수행을 하더라도 몇 번 하다가 그만두고, 조금 하다가 ‘별 거 없네’ 하고 관둔다면, 배터리가 방전된 차와 같습니다. 자동차가 아무리 좋아도 관리를 안 해서 방전되어 있다면 그 차는 자동차로써 아무런 쓸모가 없습니다. 방전된 차는 달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수시로 운행해서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어야 내가 원하는 때 언제든지 차를 운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는 달려야 달릴 수 있습니다. 수행도 수행해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말장난 같은 동어반복이지만 맞는 말입니다. 어떤 신도가 스님을 찾아와서 물었습니다.

“이번에 자식이 공무원 시험을 보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스님이 답하길, “비법이 있는데 보살님께만 특별히 알려드릴게요. 공부만 잘 하면 확실히 됩니다.”

맞는 말입니다. 그러나 대안은 아닙니다. 수행을 잘 하려면 수행을 열심히 해야 한다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열심히 수행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인생의 배터리가 나갔다는 말입니다. 인생의 배터리가 나갔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누군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밖에서 불어오는 거친 역경이 마음의 고통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내 안의 무명이 번뇌를 만든다.”

어떤 사람이 짜증나는 말을 한다고 합시다. 말을 그대로 풀어보면, “그 사람의 말에서 짜증이 나온다.”라는 뜻입니다. 말 속에 짜증이라는 것이 들어있다면 누구나 그 말을 듣고 짜증이 나야 합니다. 그런데 오직 나만 짜증이 난다면 그 말 속에 짜증이 들어있는 것이 아닙니다.

‘내가 왜 이런 이야기를 들어야 하나. 나는 이런 이야기를 들을 만큼 못난 놈이 아니다.’라는 내 마음이 짜증으로 바뀐 것입니다. 그래서 나만 짜증이 나는 겁니다. 외부의 무언가가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나를 힘들게 하는 것입니다. 번뇌가 외부에서 왔든 내부에서 왔든, 지금 내 마음이 고통으로 가득 차있어서 수행을 할 여유가 없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첫 걸음마를 떼려면 천 번 이상을 넘어져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세상의 모든 아이들이 ‘나는
백 번 천 번 넘어져도 기필코 걷고 말거야’ 하는 의지를 불태웠기 때문에 우리가 모두 이렇게 두 발로 걸어 다니는 것일까요? 아이의 입장에서 봅시다. 주변의 모두가 두 발로 걸어 다니니까 나도 두 발로 걸어야 하나보다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만약 주변에 동물들 밖에 없다면 두 발로 걷기 위해서 수천 번을 넘어질까요?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한편 걸음마를 하려는 아이가 넘어지면 옆에 있던 어른이 안아주고 위로해주고 격려합니다. 내가 넘어져도 부모가 일으켜 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넘어져도 일어나서 걷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기대고 의지할 어른이 있기에 천 번 이상 넘어져도 걸음마를 자기 힘으로 뗄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함께 수행하는 도반이 있고 부처님이 있으면 어떻게든 수행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인생의 배터리가 방전되어서 부처님에게 기댄다는 것은 나도 부처님처럼 살겠다는 열망, 부처님에게 귀의하는 마음을 갖는 것입니다. 이런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앞서 말한 인생의 힘든 시절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부처님께 귀의하는 마음, 부처님처럼 살겠다는 열망이 어떻게 하면 생기냐는 것입니다. 그런 마음은 저절로 생기지 않습니다. 평소에 꾸준하게 예불하고 기도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하기 싫어도 하고, 귀찮아도 하고, 바빠도 하고, 습관적으로 해야 그런 마음이 생깁니다. 이 마음이 나중에 스스로를 붙잡아주고 일으켜주는 것입니다. 결국 지금 당장 이유가 없어도 조금의 끌림이나 성취가 없어도 빠뜨리지 않고 기도하고 예불해야 합니다.

강원 시절, 4년을 하루같이 예불했습니다. 매일 새벽마다 예불을 하고 <금강경>을 독경하고 108배를 했습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구정이나 추석이나 방학이나 상관없이 했습니다. 한여름에는 모기가 장삼을 뚫고 한겨울에는 법당 안으로 칼바람이 들어와도 그저 했습니다. 생각해보면 얼마나 하기 싫었겠습니까. 내가 이 짓을 왜 하나 하는 생각이 왜 안 들었겠습니까. 즐거운 마음으로 한 것은 4년을 통틀어서 정말 몇 번 안 됩니다. 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강원을 졸업하고 보니 그때 고생한 덕분에 나도 모르게 예불하고 기도하는 습관이 몸에 베었습니다. 처음 혈혈단신으로 시골의 말사에 부임해서 할 수 있는 것이 기도 말고는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신도가 오든 말든 개의치 않고 백일기도를 했습니다. 그때 생각했습니다.

‘내가 그때 그렇게 고생한 덕에 지금은 이렇게 아무도 없는 절에서,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함께 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도, 아무 생각 없이 예불하고 기도할 수 있구나. 나에게 예불하고 기도할 수 있는 기회를 준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누가 나에게 기회를 줬습니까? 강원 시절의 내가 줬습니다. 그 때,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고생하지 않았다면 백일기도는 할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입니다. “신도도 없고 힘드니까 말사 주지 안 할란다.” 하고 가버렸을지도 모릅니다.

예불과 기도는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안 하는 것이 아닙니다. 바쁘면 거르고 기분 좋으면 두세 번 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습관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내 수행의 배터리가 충전됩니다. 배터리가 충전되어 있어야 내가 진짜 힘들 때, 인생에 역경이 닥쳐왔을 때 내 마음의 번뇌를 살펴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와 힘이 생기는 것입니다.

여러분! 인생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불보살님에게 SOS를 청하십시오. 그런데 부처님이 아무에게나 응답하지는 않습니다. 평소에 포인트를 적립해 놓아야 합니다. 그러니 하기 싫어도 예불하고, 바빠도 빼먹지 말고 꼭 기도하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