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은 희망이다

제가 증심사에 오기 전 시골 절에 처음 부임했을 때가 정초기도와 삼재기도를 하는 딱 요맘때였습니다. 법회 날이 되자 동네 어르신들이 저에게 부적을 써달라고 오는 겁니다. 내가 무당도 아닌데 부적을 달라고 하니 참 황당했습니다. 그래도 시골 어르신들이 요청하는 바이니 여기저기 수소문을 해서 준비했습니다. 몇 년 동안 그렇게 부적을 나눠드리기는 했는데 여전히 ‘부적은 미신이다’라는 생각이 있으니까 마음이 편치만은 않았습니다.

그러다 증심사에 오니까 아예 새해 복돈과 함께 자그마하게 프린트 된 부적을 같이 나눠 드리고 있었습니다. 물론 신도님들이 돈 5천 원이 없어서 이 추운 날 무등산 중턱까지 올라오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어느 절 할 것 없이 남녀노소 불문하고 정초가 되면 부적을 찾는구나’ 라고 말입니다. 과연 부적이 무엇이기에 이 추운 겨울에 사람들을 절로 불러들이는 것일까요?

먼저 소원과 희망의 차이를 알아봅시다. 소원(所願)은 바 소(所)에 원할 원(願)을 씁니다. 그래서 소원은 원하는 바입니다. 소원은 한 번만 바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희망(希望)은 바랄 희(希), 바랄 망(望)입니다. 바라고 또 바랍니다. 희망은 소원의 곱빼기입니다. 바라고 또 바라기 때문에 배로 강렬한 것입니다. 소원은 그냥 내가 바라는 바, 즉 내가 무엇을 하고 싶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오늘 저녁에 탕수육이 먹고 싶다.”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희망은 바라고 또 바라기 때문에 그 안에 힘이 실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너는 우리 집안의 희망이야”라고 할 때 그 말 안에는 “너는 우리의 유일한 버팀목이기 때문에 반드시 출세해서 집안을 일으켜야 한다”는 강한 요구가 담겨있습니다. 단순하게 바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바라는 바가 응축되고 응축되어 힘이 생기는 것입니다. 희망은 우리에게 힘을 주는 것입니다.

소원성취를 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기도입니다. 기도와 소원은 어떻게 다를까요? 절에서 하는 기도 말고 흔히 말하는 원래적 의미의 기도는 공을 들이는 것입니다. 공을 들인다는 것은 열심히 비는 것입니다. 예전에 할머니가 기도하던 모습을 떠올려 보면, 아침저녁으로 물을 떠놓고 한참을 빌던 모습이 가장 먼저 생각납니다. 이런 것이 기도입니다. 기도 중에서 불공은 부처님께 공을 들이는 것입니다.

소원은 원하는 것이고, 인간이 근본적으로 원하는 것은 행복하고 싶다는 겁니다. 행복의 추구가 모든 소원의 근본입니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지 않고 근본적인 행복을 얻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소원성취를 위한 기도는 결국 수행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기도와 부적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기도는 제대로 하든, 잘못하든 어찌 되었든지 간에 열심히 하는 것입니다. 제대로 하면 그게 수행이 되는 것이고, 잘못하면 헛고생하는 것입니다.

원효스님의 말씀처럼 아무리 열심히 해도 어리석은 마음으로 잘못한다면 원하는 바를 얻을 수 없습니다. 어쨌든 기도는 열심히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부적은 열심히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절에 가서 스님에게 “주세요” 하면 됩니다. 정초 때 절에 와서 법당에 있다가 받으면 되니까 간단합니다. 이것이 부적과 기도의 차이입니다. 한편 우리는 흔히 노력을 하려면 기도를 하지 말고 실천하라고 말합니다.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열심히 공부를 해야 합니다. 노력을 하되 기도보다는 실제로 생산적인 노동을 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러시아의 대문호인 막심 고리키는 “대지의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기도가 아니라 노동이다”라는 말을 했습니다. 맞는 말입니다. 백날 기도해봤자 땅에서는 아무것도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세상이라는 게 참 희한합니다. 100의 노력을 했을 때 100의 결과가 얻어진다면 아무도 부적 같은 것을 찾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1,000의 노력을 해도 100을 얻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요즘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합니다. 같은 조건에서 같은 노력을 해도 될 듯 말 듯 한데 이미 출발선이 다릅니다. 불평등한 조건에서는 아무리 노력해도 잘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불평등만 우리 앞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미래는 우리가 도저히 알 수 없는 무수히 많은 우연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각자가 노력한 대로 된다는 보장은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사람들은 확실한 무언가를 찾습니다. 그 중 하나가 부적이고 기도입니다.

우리 인간에게는 마음속에 있는 생각을 밖으로 형상화시키는 능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밖에서 일을 하다가 힘이 들 때 지갑에 있는 가족사진을 보면 저절로 힘이 납니다. 나의 소원은 우리 가정의 행복이며, 이 소원을 형상화시킨 것이 가족사진이기 때문입니다. 가족사진을 보면 이 식구들을 내가 어떻게든 행복하게 해주고 싶다는 마음이 생기기에 힘이 나는 것입니다.

왜 인간은 희망을 형상화시킬까요?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희망도 마찬가지 입니다. 내 마음속의 희망 역시 항상 크고 강렬하지만은 않습니다. 때문에 내 마음 밖에 희망을 형상화시켜 놓는 것입니다. 내 마음속의 희망이 이런저런 이유로 희미해지고 사라졌을 때 내 마음밖에 만들어 놓은 희망을 보고 다시 힘을 내는 것입니다. 희망은 힘을 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희망을 형상화시켜서 내 안의 희망과 소원을 지키고 키우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소원이 강하면 희망이 되고 희망이 강하면 힘이 생깁니다. 힘이 생기면 무언가를 하고자하는 의지가 생깁니다. 의지가 강해지면 누가 하지 말라고 해도 합니다. 소원이 그저 소원에만 머무른다면 소원성취는 요원할 것입니다. 소원을 이루려면 소원을 가꾸고 키워서 의지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부적은 우리 안의 희망이 밖으로 형상화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가 준 부적을 차에 걸어두었다고 합시다. 그러면 아들의 안전을 지켜주는 영험한 힘은 어디에서 나올까요? 졸면서 운전을 하던 아들이 그 부적을 보면 당연히 어머니가 생각날 것입니다. ‘내가 어머니를 위해서라도 졸음운전을 해서는 안되겠다.’라고 생각하면 잠이 확 깰 것입니다. 즉 아들이 항상 안전하기를 바라는 어머니의 희망이 부적으로 형상화된 것입니다. 부적의 힘은 바로 어머니의 희망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적을 보면서 항상 그 안에 담긴 희망과 꿈을 읽고 또 되새기기를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Scroll to Top